[관련 게시물]
2020/11/16 - [서버 운영/버추얼박스(VirtualBox)] - 버추얼박스 가상머신에 Windows 10 설치 미디어 iso 이미지 파일 등록
2020/11/18 - [윈도 10] - Windows 10 설치(+ 버추얼박스 가상머신)
2020/11/27 - [서버 운영/버추얼박스(VirtualBox)] - Guest OS로 Windows 10이 설치된 버추얼박스 가상머신의 게스트확장 설치
2020/11/29 - [윈도 10] - 윈도 10 파티션 축소/분할
2020/12/01 - [윈도 10] - Windows 10 - Linux(Ubuntu) 멀티부팅(듀얼부팅) 시스템 구축
2020/12/03 - [리눅스/Ubuntu] - Linux(Ubuntu) - Windows 10 멀티부팅(듀얼부팅) 시스템 구축
제 블로그에서는 여러 종류의 O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재를 했었습니다.
Windows 10
2020/11/18 - [윈도 10] - Windows 10 설치(+ 버추얼박스 가상머신
Ubuntu 20.04
2020/04/07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20.04 LTS Focal Fossa 릴리스 노트(ReleaseNotes)
2020/04/25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20.04 Focal Fossa 설치 방법(+ 버추얼박스 활용)
2020/04/27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20.04 Focal Fossa로 업그레이드 방법
Ubuntu 20.10
2020/11/06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20.10 Groovy Gorilla의 주요 특징과 설치 및 업그레이드
Ubuntu 19.10
2019/10/19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19.10으로의 업그레이드 01 (CLI)
2019/10/20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19.10 Eoan Ermine 클린 설치(Clean Install)
2019/10/25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19.04에서 19.10으로의 업그레이드 02 (GUI)
Ubuntu 19.04
2019/05/07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19.04 새로 설치(클린 설치)
2019/05/10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19.04 설치 후 기본 설정
2019/05/03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업그레이드 (18.04 → 19.04) - CLI 방식
2019/05/01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업그레이드 (18.04 → 18.10 → 19.04) - CLI 방식
2019/04/29 - [리눅스/Ubuntu] -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업그레이드 (18.04 → 18.10 → 19.04) - GUI 방식
openSUSE Leap 15.2
2020/07/10 - [리눅스/OpenSUSE] - openSUSE Leap 15.2 설치(Virtualbox 6.1에서 설치하는 방법)
CentOS 8
2019/12/09 - [리눅스/CentOS] - Cent OS 8 설치 01 - 설치 시작 / 현지화2019/12/10 - [리눅스/CentOS] - Cent OS 8 설치 02 - 소프트웨어
2019/12/13 - [리눅스/CentOS] - Cent OS 8 설치 03 - 시스템 01 - 설치 목적지(= 설치 장소)
2019/12/15 - [리눅스/CentOS] - Cent OS 8 설치 03 - 시스템 02 - KDUMP, 네트워크 & 호스트 이름, 보안 정책
2019/12/17 - [리눅스/CentOS] - Cent OS 8 설치 04 - 설치 중 초기 설정
그러나 위 방법들은 하나의 시스템에 하나의 OS만을 설치할 때의 방법입니다. 그러나 중고급 사용자쯤 되면 각기 다른 OS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필요가 생기게 됩니다.
한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OS를 사용하는 방법은 몇 가지 있습니다.
먼저 둘 이상의 OS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각 OS별로 특별히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해당 OS가 지원하는 가상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각 OS별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Windows에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Windows 8.1부터 지원되는 Hyper-V 기능을 활성해 이용하는 것입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server/virtualization/virtualization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server/virtualization/hyper-v/hyper-v-on-windows-server
두 번째는 Windows에 리눅스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리눅스용 윈도 하위 시스템(WSL - Windows Subsystem for Linux, 현재는 WSL과 WSL2 두 가지 버전 지원 중)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Linux
Linux에서는 QEMU 기반 가상화 패키지를 설치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그놈박스(gnome-boxes)를 설치해 가상머신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https://wiki.gnome.org/Apps/Boxes
https://help.gnome.org/users/gnome-boxes/stable/index.html.en
Mac
Mac에서는 parallels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상머신을 구축합니다.
멀티 플랫폼
OS의 구분 없이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VMware, VirtualBox 등과 같은 범용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Oracle이 유지보수하고 있는 VirtualBox를 이용해 연재 내용을 작성합니다. VirtualBox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tc
그외에 도커(docker)등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의 방법은 현재 컴퓨팅 환경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둘 이상의 OS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의 자원을 호스트와 게스트(가상머신)가 나누어 사용하므로 성능 저하는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한 시스템에 둘 이상의 OS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것뿐인 것은 아닙니다. 가상화 기술이 발달하여 각광받기 전에는 개인용 컴퓨터 수준에서는 멀티 부팅(= 듀얼 부팅)을 사용했었습니다.
멀티부팅은 파티션을 분할하여 새로 생성한 파티션에 OS를 설치, 시스템 부팅 시 구동할 OS를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 OS를 사용할 수는 없지만 시스템 자원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멀티부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설치 OS : Windows 10
추가 설치 OS : Ubuntu 20.04
멀티부팅을 구축한다고 하면 위 상자와 같이 Windows 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 OS (보통 Linux)를 설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글은 그러한 조건에서 멀티 부팅 시스템을 구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분투 등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윈도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는 보다 복잡합니다.
해당 내용은 추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Ubuntu 시동 디스크(USB 등)를 준비해줍니다.
2019/08/24 - [리눅스/Ubuntu] - 우분투 시동 디스크 만들기
2020/04/24 - [리눅스/공통] - Rufus로 부팅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들기 - 예시 : 우분투(Ubuntu) 20.04
시동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에는 새로운 OS를 설치할 파티션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즉 기존 파티션을 분할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Windows 10에서는 디스크 관리를 이용해 손쉽게 파티션을 분할해줄 수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파티션 분할하는 방법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티션 분할을 마치고는 시동 디스크(USB 등)를 컴퓨터에 꽂거나 집어 넣고 시스템을 켜줍니다.
시스템을 구동하자마자 BIOS 설정으로 진입해줍니다. 만약 이미 윈도가 구동되어 있다면 위 그림처럼 재시작하여 BIOS 설정으로 진입해줍니다.
위 그림은 일반적인 BIOS 설정 화면이 아니라 버추얼박스의 BIOS 설정 화면입니다.
부팅 장치나 부팅 순서를 관리하는 메뉴를 들어가줍니다.(Boot Manager나 그와 유사한 메뉴)
BIOS 설정 화면은 메인보드에 따라 다르지만 기능 자체는 대동소이하므로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시동디스크로 부팅되도록 선택해줍니다. 또는 부팅 순서를 시동디스크 장치가 최우선적으로 부팅되도록 설정해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Ubuntu 20.04를 멀티 부팅 OS로 설치하고자 해당 시동 디스크를 넣고 부팅하면 위 그림과 같이 GNU GRUB Version 2 가 구동됩니다. 참고로 이것은 EFI 시스템일 때의 화면입니다.
OS 설치 과정은 본 글 윗부분에 걸어놓은 여러 종류의 OS를 설치하는 방법 관련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제 블로그의 주력 연재 대상인 Ubuntu 20.04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OS도 방법은 대동소이하므로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Ubuntu 20.04 설치 과정을 진행하다보면 설치 형식 파트에서 위 그림과 같이 뜹니다.
즉 Ubuntu를 설치할 파티션 관련 항목을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위 그림과 같은 단계가 표시되면 하단의 기타 항목을 선택하고 계속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 글에서 예로 든 Ubuntu와 다른 OS를 설치하더라도 파티션 선택 화면에서 이와 유사하게 새로운 파티션에 OS를 설치하도록 선택해줍니다.
시스템을 재부팅하기 전에 기존 파티션을 분할하고 할당하지 않은 새 파티션이 보일 것입니다.
할당되지 않은 새 파티션 항목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좌하단의 +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파티션 만들기 창이 뜹니다.
크기를 최대로 설정해주고 새 파티션 종류는 주, 새 파티션의 위치는 이 공간이 시작하는 지점을 선택하고 용도는 EXT4 저널링 파일 시스템, 마운트 위치는 /로 설정 한 다음 OK 버튼을 눌러줍니다.
여러 파티션을 생성하고 각 파티션 별로 마운트 위치를 할당해줄 수 있습니다. 그것은 Ubuntu 설치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 파티션 만들기 설정을 마치면 위 그림과 같이 표시됩니다. Ubuntu를 설치할 새 파티션 항목에 자동으로 포맷 항목이 체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부트로더를 설치할 장소는 우분투가 자동으로 잡아줍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따로 잡아줄 필요는 없습니다.
설정을 확인하고 지금 설치 버튼을 눌러줍니다.
바뀐 점을 디스크에 쓰시겠습니까? 라는 제목의 창이 뜨면서 우분투를 설치할 파티션 정보를 다시금 확인합니다.
문제가 없으면 계속하기 버튼을 눌러 진행합니다.
Ubuntu 설치 작업이 완료되고 컴퓨터에 꽂은 시동디스크를 빼낸 다음 시스템을 부팅하면 위 그림처럼 GNU GRUB 화면이 뜹니다. 그런데 메뉴 항목에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Ubuntu
Ubuntu (safe graphics)
OEM install (for manufacturers)
Boot from next volume
UEFI Firmware Settings
우분투를 설치할 때는 위 항목이 나오지만 우분투를 설치한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Ubuntu
Ubuntu용 고급 설정 (safe graphics)
Windows Boot Manager (/dev/sd1에 있는)
UEFI Firmware Settings
Ubuntu
Windows Boot Manager (/dev/sd1에 있는)
위 두 항목으로 우분투와 윈도 부팅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멀티부팅 시스템을 구축한 것입니다.
일단 Ubuntu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눌러 우분투로 부팅햅보시다.
우분투로 부팅한 후 프로그램 목록들 중에 디스크 ㅇ이콘을 눌러줍니다.
디스크 앱의 창이 뜹니다. 하드디스크를 선택하면 위 그림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면 현재 EFI 시스템 파티션과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여기서는 파티션 5번 = /dev/sda5)만 마운트되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 표시된 파티션이 Windows 10이 설치된 파티션입니다. 파일 시스템이 NTFS이고 현재 부팅 중인 시스템에 마운트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Windows 10이 설치된 파티션이 선택된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사용량 분석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위 그림을 보면 미장착된 볼륨(파티션)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파일 아이콘을 눌러 파일 관리자 앱(GNOME 데스크톱 환경의 노틸러스(Nautilus))을 실행해줍니다.
다른 위치를 누르면 시스템의 최상위 장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v/sda3 장치가 보입니다. 그런데 위 모습은 해당 장치가 마운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해당 항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 파티션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 그림과 같이 해당 파티션 안의 디렉터리와 파일을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어느새 마운트되어 읽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리눅스 등에서는 특정 장치를 마운트할 때 moun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리눅스의 경우 CLI에서 특정 장치를 마운트하여 활성화할 때 아래와 같은 명령을 사용합니다.
# mount -t <파일 시스템 유형> <장치 파일> <마운트 포인트>
예시
$ sudo mount -t ntfs /dev/sda3 /mount
그러나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는 경우, 노틸러스 같은 파일 관리자에서 Windows 10 파티션(/dev/sda3)항목을 클릭하여 해당 장치를 손쉽게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장치의 마운트 여부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최상위 장치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해보면 Windows 10 파티션(/dev/sda3 장치) 항목에 꺼내기 버튼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마운트되어 있지 않던 해당 파티션이 마운트된 것입니다.
디스크 앱에서도 Windows 10 파티션 항목에 ▶이 붙어 마운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디스크 사용량 분석(= 장치 및 위치) 창을 보면 미장착이라 쓰여 있던 부분이 용량 표시 항목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부팅 시 GNU GRUB 화면에서 Windows Boot Manager (/dev/sd1에 있는) 항목을 클릭하면 Windows 10으로 부팅됩니다.
디스크 관리(실행 창에서 diskmgmt.msc 실행)를 실행하면 위 그림과 같이 우분투가 설치된 파티션이 보입니다.
윈도 탐색기를 실행하면 위 그림과 같이 표시됩니다. 윈도 탐색기서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읽어들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윈도 10에서 라눅스 파일 시스템을 읽어들이기 위해서는 서드파티 앱을 설치하여 해당 앱을 통해서만 디렉터리 및 파일 관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윈도 10 > 윈도 10 설치 및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갓모드(God Mode) (0) | 2021.05.19 |
---|---|
윈도 10 파티션 축소/분할 (0) | 2020.11.29 |
Windows 10 설치(+ 버추얼박스 가상머신) (0) | 2020.11.18 |
윈도 10의 내장 CD/DVD 굽기 프로그램 isoburn.exe 사용법 (4) | 2020.11.03 |
Windows 10 설치 미디어 USB 메모리 및 ISO 파일 만들기 (0) | 2020.11.01 |
Windows 10 버전 20H2 OS빌드 19042.572 주요 변화와 업그레이드 방법 (0) | 2020.10.26 |
윈도 10 DISKPART 기본 명령 - 디스크, 파티션 관리 (0) | 2020.09.10 |
윈도 10 EFI 시스템 파티션이 있는 디스크 포맷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