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Debian or Ubuntu

우분투(Ubuntu) 데스크톱 배포판 19.04 설치 후 기본 설정

씨실과 날실 2019. 5. 10. 09:00

우리는 지난 연재를 통해 우분투 19.04 데스크톱 배포판을 설치했습니다. 이제 기본적인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업해봅시다.

디스플레이 설정

우분투 19.04를 업그레이드가 아닌 클린 설치를 하게 되면 가상머신에서 아래 그림처럼 우분투 화면이 작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상 머신에서 설치하지 않고 컴퓨터 시스템 자체에 바로 설치하는데 유사한 문제가 발샌하는 경우 아래의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설정 방법

우분투 바탕화면에 마우스를 올려두고 오른쪽 클릭을 하면 위 그림처럼 팝업 메뉴가 뜹니다. 메뉴들 중에서 Display Settings을 눌러줍니다.

디스플레이 설정창이 뜹니다. 이 화면은 프로그램 표시 - 설정 - 장치 -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창을 마우스를 이용해 드래그 앤 드롭하여 왼쪽으로 옮겨 해상도 설정 부분이 보이도록 합니다. 그후 자신의 모니터에 적절한 해상도를 설정해줍니다.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 설정창 우상단의 적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화면이 해상도에 맞춰 조절되며 '이 디스플레이 설정을 유지하시겠습니까?'라는 창이 뜹니다. 바뀐 사항 유지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화면 해상도가 바뀐 것이 적용됩니다.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 활용

버추얼박스 게스트확장을 설치하면 자신의 모니터 해상도에 맞춰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버추얼박스의 가상 머신 내에서 우분투를 구동 중이신 분들은 이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GAs) 설치 및 설정 부분을 참고 하시거나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링크는 우분투 18.04에서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을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한 글이며, 이 글 아래의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GAs) 설치 및 설정 부분은 우분투 19.04에서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을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정 해상도 설정 - xrandr 명령 이용

제 연재에서는 해상도 설정과 관련하여 실용적인 내용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해상도 설정과 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상도 변경과 관련하여 가장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부분은 아래 링크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자신의 모니터와 우분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해상도 설정값이 맞는 것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위 그림도 맞는 해상도가 없어 그냥 적당한 해상도로 설정한 모습입니다.

물론 버추얼박스 게스트확장을 설치하면 알아서 해상도가 최적값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버추얼박스 게스트확장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내용은 버추얼박스 등 가상 머신에서 우분투를 구동하지 않고  컴퓨터의 OS로 직접 설치한 경우 도움이 되는 내용입니다.

우분투 데스크톱은 다음 아래의 해상도 설정값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560 X 1600 (16:10)

1920 X 1440 (4:3)

1856 X 1392 (4:3)

1792 X 1344 (4:3)

1920 X 1200 (16:10)

1600 X 1200 (4:3)

1680 X 1050 (16:10)

1400 X 1050 (4:3)

1280 X 1024 (5:4)

1440 X 900 (16:10)

1280 X 960 (4:3)

1360 X 768 (16:9)

1280 X 800 (16:10)

1152 X 864 (4:3)

1280 X 768 (16:10)

1024 X 768 (4:3)

800 X 600 (4:3)

위 해상도 외의 설정값을 적용하려면 터미널로 해당 설정값을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자신의 모니터와 어울리는 해상도 값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 정보 확인

study@study-VirtualBox:~$ xrandr
터미널에서 xrandr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정보가 출력될 것입니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
Screen 0: minimum 1 x 1, current 800 x 600, maximum 8192 x 8192
VGA-1 connected primary 800x600+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0mm x 0mm
   800x600      60.00*+   60.32
   2560x1600     59.99  
   1920x1440     60.00  
   1856x1392     60.00  
   1792x1344     60.00  
   1920x1200     59.88  
   1600x1200     60.00  
   1680x1050     59.95  
   1400x1050     59.98  
   1280x1024     60.02  
   1440x900      59.89  
   1280x960      60.00  
   1360x768      60.02  
   1280x800      59.81  
   1152x864      75.00  
   1280x768      59.87  
   1024x768      60.00  
   640x480       59.94  
Virtual2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3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4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5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6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7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Virtual8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study@study-VirtualBox:~$ 

위 출력된 정보에서 우리가 확인할 부분은 아래의 문구입니다.

VGA-1 connected primary 800x600+0+0

Virtual1이 현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입니다.

보통 연결 장치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Virtual : 가상머신을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VGA : VGA 케이블로 연결된 모니터

HDMI : HDMI 케이블로 연결된 모니터

DP : DP 케이블로 연결된 모니터

LVDS : LVDS은 랩톱(노트북) 모니터

보통 위의 각 장치 이름에 숫자가 붙어 디스플레이 장치 이름을 구성합니다.

추가할 해상도 정보 확인

추가할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

study@study-VirtualBox:~$ cvt width height

 cvt 다음에 width와 height 문구 대신 각 해상도 숫자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저는 원활한 연재를 위해 800x600 해상도가 지원 해상도애 없다고 가정하고 800x600 해상도로 설정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여러분들은 우분투가 지원하지 않는 특별한 해상도를 적용하기 위해 이 연재 부분을 보고 계시겠지요. 그럼 width와 height 부분에 자신위 운하는 해상도 숫자를 적어 실행 시키시면 됩니다. 물론 이후 과정도 유사히 작업해주시면 됩니다. 

$ cvt 800 600 60

# 800x600 59.86 Hz (CVT 0.48M3) hsync: 37.35 kHz; pclk: 38.25 MHz
Modeline "800x600_60.00" 38.25 800 832 912 1024 600 603 607 624 -hsync +vsync

그럼 위와 같이 정보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클립보드에 복사해야 할 부분은 Modeline 다음 문구들입니다.

"800x600_60.00"   38.25  800 832 912 1024  600 603 607 624 -hsync +vsync

이 부분을 클립보드에 복사해 놓습니다.

해상도(mode) 생성 및 추가

이제 해상도 정보 즉 mode를 우분투에 생성해줍시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 --newmode "800x600_60.00"   38.25  800 832 912 1024  600 603 607 624 -hsync +vsync
 우분투에 새로운 해상도 설정값을 추가해줍니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 --addmode VGA-1 "800x600_60.00"

새로 추가한 해상도 설정값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해줍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소문자를 정확히 적어주어야 합니다. 만약 이를 정확히 적어주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출력될 것입니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 --addmode vga-1 "8000x600_60.00"
xrandr: cannot find output "vga-1"

이제 이 설정을 바로 지금 적용해봅시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 --output VGA-1 --mode "8000x600_60.00"

그러면 화면이 800x600에 맞춰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세번째 xrandr 명령어 대신 GUI 방식으로도 해상돌르 바로 적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xrandr --addmode 명령 실행 후 우분투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들어가봅시다.

제가 위에 작성한 800X600은 어디까지나 예입니다. 우분투 데스크톱에 미리 세팅되어 있는 해상도 외의 해상도를 적어줍니다. 그럼 디스플레이 해상도 목록에 새로 추가한 해상도 설정값이 목록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한 해상도 설정값을 선택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 그림처럼 화면 해상도가 조절이 되고 '이 디스플레이 설정을 유지하시겠습니까?' 창이 뜹니다. 바뀐 사항을 유지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화면이 새로 설정한 해상도에 맞춰 조절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적용된 해상도 설정은 부팅되어 있는 동안만 적용됩니다. 만약 시스템을 껏다가 다시 부팅하게 되면 적용했던 해상도 설정값은 사라지고 다시 원상복구됩니다.

이것을 시스템이 재부팅되더라도 적용되도록 설정해줍시다.

인터넷을 돌아보면 ~/.profile이나 혹은 xorg.conf 파일 등 시스템 파일을 직접 수정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분투 시스템 파일을 직접 고치는 것은 리눅스 전문가가 아닌 이상 위험할 수 있으므로 bash 파일을 만들어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시키는 것이 시스템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저는 이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우분투(리눅스) 부팅과 함께 특정 명령들을 담은 파일을 자동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방식이 있으나 저는 GUI 방식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우리는 bash 파일을 생성해주어야 합니다. 파일 확장자는 .sh로 정해야 합니다. 생성 위치는 ~/ 디렉토리 안이어 합니다. 저는 xrandr.sh 이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하겠습니다.

study@study-VirtualBox:~$ gedit xrandr.sh

터미널에서 위 명령을 실행해줍니다. gedit가 실행됩니다.  문서 안에 아래의 내용을 자신의 환경에 맞춰 수정하여 적고 저장해줍니다.

#!/bin/bash
xrandr --newmode "800x600_60.00"   38.25  800 832 912 1024  600 603 607 624 -hsync +vsync
xrandr --addmode VGA-1 "800x600_60.00"
xrandr --output VGA-1 --mode "800x600_60.00"

bash 파일은 문서 맨 위에 항상 #!/bin/bash 를 선언해주어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 후에 위에서 우리가 터미널로 실행했던 3개의 xrandr 명령을 적어줍니다.

위 내용을 저장 후 해당 파일 퍼미션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study@study-VirtualBox:~$ chmod 0700 xrandr.sh

위 세 개의 xrandr 명령을 한번에 실행하려면 위처럼 bash 파일을 만들어주고 아래처럼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study@study-VirtualBox:~$ ./xrandr.sh

위처럼 bash 파일을 실행하면 터미널에서 해당 파일에 적은 명령이 모두 실행되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제 이 파일을 우분투가 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해줍시다.

시작 프로그램을 클릭하여 실행해줍니다.

추가 버튼을 누르면 시작 프로그램 추가 창이 뜹니다. 여기에 이름을 적당히 적어주고 찾아보기에서 방금 우리가 만든 해상도 설정 bash 파일(예에서는 xrandr.sh 파일)을 선택해주고 창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시스템을 껐다가 다시 켜더라도 설정한 해상도값이 적용됩니다.

이 해상도 설정은 리눅스 초보자에게는 좀 버거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성공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독(Dock) 설정

아마존 제거

위 화면에서 좌측 하단의 프로그램 표시 버튼을 눌러줍니다.

화면 하단 중앙의 '모두'의 버튼을 누르면 위 그림처럼 우분투에 설치된 앱들의 아이콘들이 2페이지에 걸쳐 정렬되어 표시되는데 첫 페이지의 우분투 소프트웨어 아이콘을 눌러 해단 앱을 실행해줍니다.

그러면 위 그림처럼 우분투 소프트웨어에서 설치할 수 있는 각종 앱들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화면 상단 중앙의 설치함 탭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위 그림처럼 현재 우분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앱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맨 위에 아마존(Amazon) 항목 오른쪽의 제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제거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 그림을 보면 실제로 평가가 굉장히 안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우분투 사용자들은 설치하자마자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이 아마존 앱을 제거하는 일입니다.

정말로 제거하겠냐고 물어옵니다. 제거 버튼을 눌러 줍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설치되어 있는 앱이나 패키지를 제거하려면 관리자 권한을 소유하고 있거나 임시적으로 곤리자 권한을 획득해야 합니다. 위 그림은 임시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암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는 모습입니다.

인증을 하면 제거 작업이 실행됩니다. 위 화면은 제거 작업이 완료된 후의 모습니다. 실행 버튼은 설치기존에 있던 제거 버튼은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터미널 즐겨찾기 추가

우분투 메인 화면 좌하단의 프로그램 표시 버튼을 누른 다음 하단의 모두 탭을 눌러 우분투 시스템에 설치된 앱들을 확인합니다.

우분투 18.04에서는 터미널이 다른 앱들과 나란히 바깥에 독립적으로 정렬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04에서는 터미널이 위 그림처럼 유틸리티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터미널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팝업 메뉴에서 즐겨 찾기에 추가를 눌러줍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우분투 좌측 독(Dock)에 터미널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아이콘을 누르면 위 그림처럼 터미널이 실행되는데 처음으로 터미널을 실행하게 되면 위 그림처럼 명령행 위에 무엇인가 영어로 안내가 나옵니다.

관리자로서 명령을 실행하려면 "sudo 명령어"를 이용하라는 안내입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는 "man sudo_root"를 실행하라고 나옵니다.

텍스트 편집기(gedit) 즐겨찾기 추가

텍스트 편집기(gedit)는 모두 탭의 두 번째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설치 옵션에 따라 첫 번째 페이지에 나올 수도 있습니다.)

터미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팝업 메뉴에서 즐겨 찾기에 추가를 눌러줍니다.

그럼 우분투 독(Dock)에 gedit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dit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 그림처럼 gedlt가 실행됩니다.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GAs) 설치 및 설정

버추얼박스 가상머신 창에서 장치 - 클립보드 공유를 양방향으로 설정해줍니다.

버추얼박스 가상머신 창에서 장치 - 드래그 앤 드롭도 양방향으로 설정해줍니다.

이제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을 설치합시다.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을 눌러줍니다.

위 그림과 같이 안내창이 뜹니다. 실행 버튼을 눌러줍니다.

암호를 입력하고 인증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버추얼박스 게스트 확장 설치가 진행됩니다.

이제 버추얼박스를 사용할 사용자를 버추얼박스 그룹에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위 그림처럼 추가해줍니다.

이제 파일(Nautilus)를 실행하면 위 그림처럼 버추얼박스의 호스트 컴퓨터 공유폴더와 버추얼박스 게스트확장 이미지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의 시작 프로그램 기본 설정을 확인해보면 위 그림처럼 버추얼박스 클라이언트가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해상도 설정 bash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에 드옭하기 전의 모습입니다.)

버추얼박스를와 버추얼박스의 게스트 확장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시스템을 재부팅해주어야 합니다. 재부팅해주도록 합시다.

재부팅 후에는 폴더 공유와 클립보드 공유, 양방향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우분투 19.04 설치 후 가장 기본적으로 해주어야 할 작업들입니다. 그 외의 기본 설정은 우분투 18.04에서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므로 따로 적지 않고 링크를 거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주요 설정 및 추가 설치 작업

[관련 게시물]

2018/10/19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우분투 저장소 변경

2018/10/20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특정 패키지 업그레이드, 기존 패키지 전체 업그레이드, 의존성(=종속성) 확인 업그레이드


2018/10/21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프로그램 설치 안내

2018/10/22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clamav와 clamtk

2018/10/23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nautilus-admin

2018/10/24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gnome-sushi

2018/10/25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synaptic

2018/10/26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gdebi

2018/10/27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gufw

2018/10/28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mc

2018/10/29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gnome-tweak-tool

2018/10/30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 터미널 설치

2018/10/30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 GUI 설치

2018/10/30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리눅스 필수 설치 패키지 -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 gdebi 설치


2018/10/31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구글 크롬 기본 설정

2018/11/01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그놈 확장 기능 설치 - Caffeine


2018/11/07 - [서버 운영/리눅스(Linux)] - 방화벽 설정 - ufw


2019/03/05 - [서버 운영/APM 서버 구축] - [Samba]호스트[윈도10]에서 게스트[리눅스]의 폴더에 접근하기 01 - 삼바(Samba) 설치 전 작업들

2019/03/06 - [서버 운영/APM 서버 구축] - [Samba]호스트[윈도10]에서 게스트[리눅스]의 폴더에 접근하기 02 - 삼바(Samba) 설치와 설정

2019/03/08 - [서버 운영/APM 서버 구축] - [Samba]호스트[윈도10]에서 게스트[리눅스]의 폴더에 접근하기 03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네트워크 위치 추가(바로가기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