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4

명령어 clear

[관련 게시물]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dduser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d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p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lear 2018/10/20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pt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service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mkdir 2018/10/24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ls 2018/10/25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wget 명령어 clear..

명령어 cp

[관련 게시물]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dduser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d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p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lear 2018/10/20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pt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service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mkdir 2018/10/24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ls 2018/10/25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wget 명령어 cp는 C..

명령어 cd

[관련 게시물]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dduser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d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p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lear 2018/10/20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pt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service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mkdir 2018/10/24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ls 2018/10/25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wget 명령어 cd는 C..

우분투 저장소 변경

안내이 글의 기존 내용은 당시 LTS 버전이었던 우분투 18.04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새로운 LTS 버전인 20.04가 배포되었기에 그에 맞춰 내용을 업데이트합니다. 오늘은 우분투 저장소를 변경하는 작업을 할 겁니다. 먼저 우분투를 포함한 각 리눅스 배포판들은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주요 프로그램들을 저장소라는 곳에 한데 모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패키지라고 부르는데요. 터미널에서 간단한 명령어로 설정 없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저장소에 올라가 있는 패키지들은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가 많고 때에 따라서는 사용자 리눅스의 환경설정과 맞지 않아 설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리눅스를 잘 다루시는 분들은 직접 소스를 다운받아 자신의 리눅스 환경에 맞게 컴파일하여 ..

명령어 adduser

[관련 게시물]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dduser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d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p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lear 2018/10/20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pt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service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mkdir 2018/10/24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ls 2018/10/25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wget adduser는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관련 게시물]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 프롬프트와 명령어 sudo 2018/10/18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dduser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d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p 2018/10/19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clear 2018/10/20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apt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service 2018/10/22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mkdir 2018/10/24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ls 2018/10/25 - [IT/리눅스 명령어] - 명령어 wget 리눅스 터미널의 ..

버추얼박스(VirtualBox) 게스트 확장 설치, 공유 폴더 접근 권한 부여, 클립보드 공유, 양방향 드래그 앤 드롭

[관련 게시물]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 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 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 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 201..

우분투 터미널 즐겨찾기 등록

안녕하세요. 이카입니다.리눅스의 기본 명령 입력 방식은 CLI 방식입니다.위 그림처럼 생긴 창이 터미널입니다. 우분투는 이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이지요. DOS를 기억하시는 분들은 명령을 기다리는 깜박이는 프롬프트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으실 겁니다. 리눅스의 명령어 입력은 그와 흡사합니다. 일부 명령은 도스 시절의 그것과 똑같기도 하지요.물론 파일(Nautilus)로도 어느 정도 기본 조작은 가능합니다만 그 기능이 제한적이고 고급 기능은 여전히 커맨드 입력 방식의 전유물입니다.따라서 우리는 어렵더라도 명령어를 익히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그 수많은 명령어와 그에 딸린 옵션들을 모두 외워 사용할 수는 없지요. 또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단지 자주 쓰이는 명령어와 옵션들을 먼저 ..

우분투 아마존 제거 및 즐겨찾기 제거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우분투의 첫화면을 둘러보았습니다.2018/10/16 - [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우분투 첫화면 둘러보기 우리가 우분투를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당분간 앞으로의 연재 주제는 이 우분투의 초기 설정입니다. 우분투 독(dock)에서 아마존 제거터미널(Terminal) 우분투 독에 즐겨찾기 등록버추얼박스 게스트확장 CD 이미지 설치공유폴더 권한 부여우분투 저장소 변경저장소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와 패키지 업그레이드설정 이후에는 필수 프로그램 설치에 관한 연재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오늘 연재 시작하겠습니다. 왼쪽 그림처럼 우분투의 좌측에 아이콘들이 위치해 있는 부분을 독(Dock)이라고 부릅니다. 이 독에 자신의 입맛에 맞게 프로그램을 넣거나 뺄 ..

우분투 첫화면 둘러보기

안녕하세요. 씨실과 날실입니다. 우리는 우분투 설치에 이어 업데이트까지 끝마친 상태입니다. 가상머신을 실행시켜 우분투를 부팅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여러분을 반겨줄 겁니다. 맨 윗줄에는 현재활동 / 요일 및 시각 / 언어설정 / 네트워크 / 음량 / 전원버튼이 차례대로 위치해 있습니다. 왼쪽에는 8개의 커다란 아이콘들이 세로로 줄지어 있고 좌하단에는 하얀 점 9개가 3X3 의 방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상단 바부터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현재활동은 우분투 사용자가 지금 사용 중인 프로그램을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우분투의 파일(Nautilus) 프로그램을 사용 중이라면 현재활동 옆에 파일이 나타나고 역삼각형 버튼을 누르면 위 그림처럼 그 프로그램과 관련된 메뉴가 나옵니다. 요일과 시각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스냅샷 기능

[관련 게시물]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2018/10/1..

우분투 업데이트(우분투 설치 직후) 및 우분투 종료하기

우분투 설치 직후 업데이트 안내 창이 뜹니다. 우분투를 설치한 직후이므로 따로 설정을 하지 않고 지금 설치를 눌러 줍니다.그렇지만 이러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업데이트는 이후의 업데이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위 방식보다는 터미널을 이용한 CLI 방식의 업데이트를 추천합니다.터미널 명령 입력 방식이 오류 가능성이 낮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다음부터는 위 창이 뜨면 나중에 알림을 눌러 창을 닫고 터미널을 통해 업데이트 하기 바랍니다. 터미널 사용 방법은 추후 연재에 언급될 것입니다. 업데이트는 시스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므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우분투는 관리자 인증을 요구 합니다.전에 설정한 암호를 입력해줍니다.우분투의 버그인지는 몰라도 암호 입력을 두번 요구하는 경우가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하기

[관련 게시물]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 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 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 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 201..

버추얼박스(VirtualBox) 광학 드라이브에 우분투 이미지 등록 및 공유폴더 설정

[관련 게시물]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2018/10/1..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

[관련 게시물]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2018/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