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운영/버추얼박스(VirtualBox)

버추얼박스의 NAT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가상머신(Virtualbox) 내 서버 외부접속

씨실과 날실 2018. 11. 12. 10:00

[관련 게시물]

<버추얼박스(VirtualBox) 5.2.18>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

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

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

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

2018/10/12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광학 드라이브에 우분투 이미지 등록 및 공유폴더 설정

2018/10/13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하기

2018/10/15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스냅샷 기능

2018/10/1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게스트 확장 설치, 공유 폴더 접근 권한 부여, 클립보드 공유, 양방향 드래그 앤 드롭

<버추얼박스(VirtualBox)5.2.20>

2018/11/05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Virtualbox 업그레이드

<버추얼박스(VirtualBox)6.0>

2019/01/02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설치 혹은 업그레이드 01

2019/01/03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설치 혹은 업그레이드 02 - 익스텐션 팩 설치

2019/01/04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스냅샷 기능 이용하기

2019/01/05 - [IT/미디어위키(Mediawiki)] - 호스트 컴퓨터에서 가상머신 내 미디어위키 접속 및 작업을 위한 버추얼박스 포트포워딩 설정

<버추얼박스(VirtualBox)6.0.4>

 

[관련 게시물]

2018.11.12 - [서버 운영/버추얼박스(VirtualBox)] - 버추얼박스의 NAT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가상머신(Virtualbox) 내 서버 외부접속

2021.04.12 - [서버 운영/APM 서버 구축] - 버추얼박스의 어댑터에 브리지(Bridged Adpater)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가상머신(Virtualbox) 내 서버 외부접속

 


<버추얼박스(VirtualBox) 5.2.18>

2018/10/07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HashTab 설치 및 사용법

2018/10/0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설치

2018/10/09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확장팩 설치

2018/10/10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파일(VDI) 생성

2018/10/11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2TB(테라바이트) 초과 하드디스크 확장 및 생성

2018/10/12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광학 드라이브에 우분투 이미지 등록 및 공유폴더 설정

2018/10/13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하기

2018/10/15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가상머신 스냅샷 기능

2018/10/18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게스트 확장 설치, 공유 폴더 접근 권한 부여, 클립보드 공유, 양방향 드래그 앤 드롭

<버추얼박스(VirtualBox)5.2.20>

2018/11/05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Virtualbox 업그레이드

<버추얼박스(VirtualBox)6.0>

2019/01/02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설치 혹은 업그레이드 01

2019/01/03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설치 혹은 업그레이드 02 - 익스텐션 팩 설치

2019/01/04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 스냅샷 기능 이용하기

2019/01/05 - [IT/미디어위키(Mediawiki)] - 호스트 컴퓨터에서 가상머신 내 미디어위키 접속 및 작업을 위한 버추얼박스 포트포워딩 설정

<버추얼박스(VirtualBox)6.0.4>

2019/03/12 - [IT/가상머신, 서버, CMS 구축]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4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버추얼박스(VirtualBox)6.0.6>

2019/05/16 - [서버 운영/버추얼박스(VirtualBox)] - 버추얼박스(VirtualBox) 6.0.6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첫 공개판 서두]

안녕하세요. 씨실과 날실입니다.

지난 포스트에는 Apache 서버를 설치, 실행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보통 이후 연재는 DB설치와 PHP 설치가 뒤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만 저는 그 이전에 가상머신에서 돌아가는 서버를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적고자 합니다.

서버의 존재 이유는 서버 구축자가 내부에서 지지고 볶고 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 구축자 이외의 다양한 사람들이 외부에서 서버로 접속하여 서로의 의견과 콘텐츠를 주고 받는 공간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외부에서 내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끔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그 외부 접속 설정을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글을 읽는 리눅스 및 서버 초보자들께 당부드리건대 이 외부 접속 설정 방법을 결코 실 서비스에 적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냥 가상머신 내 외부 접속 과정을 간단하게 알아보는 튜토리얼 성격의 소개입니다.

이 방법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것은 해커들에게 자기 서버를 가져다 바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서버를 안전하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방화벽 등  갖가지 보안 서비스들을 설치하고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보안서버를 구축하지 않으면 불법행위로 처벌받기도 하니 반드시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버와 관련된 전문 출판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 11월 12일 작성

 

[개정판 서두]

안녕하세요. 씨실과 날실입니다.

기존에 공개했던 글은 버추얼박스의 가상머신 어댑터로 NAT를 사용해, 외부에서 가상머신 안에 구축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했었습니다.

시간이 상당히 흘러 현재 버추얼박스의 가상머신 어댑터로 Bridged Adapter를 사용해 외부에서 가상머신 안에 구축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 중입니다.

해당 글을 쓰면서  이 글도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나름대로 쉽게 쓴다고 노력했지만 가독성이 떨어지는 편이고 초보자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편이며 호스트 PC의 OS인 윈도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이 방법이 통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그 해결법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는 등 여러 이유로 개정하게 되었습니다.

 

새로 고쳐 쓰는 이 글이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더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1년 04월 작성

 


 

이 글은 2018년 11월에 작성된 글을 2021년 4월에 고쳐 쓴 것입니다.

첫 번째 개정판인 이 글은 기존 글에서 네트워크 연결 흐름과 사전 확인 사항을 추가한 것이 가장 커다란 변화이고 그외 기존 내용들 중 글을 따로 파 하나의 주제로 다룰만한 내용들을 새로운 포스팅을 작성하여 링크를 걸었습니다.

(아직 작성되지 않은 글들은 '링크'라는 단어만 적어 놓았습니다. 가느아한 한 빨리 작성하여 링크를 걸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위 링크의 글과 함께 읽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여러 내용들을 추가해 작성했습니다.

 

실습 환경

실습 환경

가상머신 : 버추얼박스 6.1.18

버추얼박스 확장팩 :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6.1.18r142142

호스트 네트워크 : 설치 완료(기본값)

호스트 OS : Windows 10 20H2

게스트 OS : Ubuntu 20.04.2 LTS

 

실습할 네트워크 구성

버추얼박스 NAT 네트워크 연결 흐름

외부 클라이언트 컴퓨터

(ISP로부터 할당받은 공인 IP)

↑↓

공유기

(192.168.xxx.xxx:xxxx)

↑↓

호스트 PC

☞ 공유기로부터 할당받은 IP

(192.168.xxx.xxx)

↑↓

버추얼박스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192.168.56.1)

↑↓

가상머신 내 서버

(10.0.2.15)

우리가 앞으로 구축할 네트워크의 흐름은 위 상자와 같습니다. 보면 Bridge Adapter로 구성된 네트워크보다 꽤나 복잡합니다.

네트워크 구축의 핵심은 각 단계별로 할당된 IP를 아는 것과 그 IP별로 개방할 포트를 정확히 지정해주는 것이 거의 전부라 할 수 있습니다.

 

이글은 단순히 외부에서 가상 머신의 웹서버 등에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합니다.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유능하신 다른 분들의 글들을 참고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전 확인 사항

Bridged Adapter로 구성한 네트워크와는 달리 NAT 네트워크를 이용한 외부 접속은 버추얼박스 버추얼 머신(VirtualBox Virtual Machine -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irtualboxvm.exe)이 사용할 윈도 네트워크 프로필과 현재 사용자가 사용 중인 윈도 네트워크 프로필이 일치해야 합니다.

 

버추얼박스를 처음 설치할 때, 설치를 완료하기 전에 집 혹은 회사 네트워크와 공용 네트워크 어느 네트워크에 연결하겠느냐는 질문을 할 것입니다. 이때 설정한 값과 윈도 설정-네트워크-네트워크 프로필 설정값이 일치해야 합니다.

즉 만약 버추얼박스 버추얼 머신(virtualboxvm.exe)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필이 집 혹은 회사 네트워크라면 사용 중인 윈도의 네트워크 프로필이 개인이어야 하고, 반대로 버추얼박스 버추얼 머신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필이 공용이라면 사용 중인 윈도의 네트워크 프로필 또한 공용이어야 합니다.

물론 맨 처음 설치할 때 사용 네트워크를 둘 모두로 체크했다면 어느 네트워크 프로필을 사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버추얼박스 버추얼 머신(virtualboxvm.exe)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필과 사용 중인 윈도의 네트워크 프로필이 일치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이번과 같이 NAT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외부 네트워크에서 가상머신의 서버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 윈도 방화벽에 막혀 접속이 되지 않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가장 간편한 방법은 사용하는 윈도 네트워크 프로필을 바꿔주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작업 컴퓨터의 위치에 따라 사내 보안 정책이나 다른 프로그램의 보안 설정고ㅓㅏ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버추얼박스 버추얼 머신(virtualboxvm.exe)의 사용 네트워크 프로필을 수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CMD 창에서 wf.msc)을 열어 로컬 컴퓨터의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의 하위 메뉴에 있는 인바운드 규칙을 보면 VirtualBox Virtual Machine 항목이 두 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이름으로 각기 존재하는 이유는  tcp와 udp 두 프로토콜을 개별로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두 항목 모두의의 네트워크 프로필을 수정 또는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VirtualBox Virtual Machine 항목을 선택하고 창 오른쪽의 속성 메뉴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해당 규칙의 속성 창이 뜹니다. 고급 탭을 눌러  프로필 항목에서 현재 사용 중인 윈도 네트워크 프로필을 체크해 추가해줍니다. 그후 적용 또는 확인 버튼을 누르고 창들을 닫아주시면 됩니다.

 

IP 주소 확인

외부 접속 설정을 위해서 가장 먼저 할 일은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반 컴퓨터(PC)에 가상머신을 설치, 그 안에 서버를 구축한 것이므로 가상머신을 설치한 호스트 컴퓨터의 공인 IP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공인 IP주소를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 및 검색 사이트의 검색창에 IP 주소 확인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것입니다.

자기 컴퓨터에 할당된 공인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주소를 잘 기억해둡니다.

 

버추얼박스 포트포워딩 설정

우리는 여기서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어댑터로 NAT를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위 그림처럼 가상머신의 설정에 들어가 네트워크 항목을 봅니다.

어댑터1 탭에서 네트워크 어댑터가 NAT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참고로 버추얼박스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어댑터 기본값을 NAT입니다.

하단에 고급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위 그림처럼 접혀 있는데요. 고급을 눌러줍니다.

 

고급 메뉴를 클릭하면 위 그림처럼 접혀져 있던 항목들이 표시됩니다.

하단에 포트포워딩 버튼이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포트포워딩 규칙 창이 뜹니다. 지금은 생성되어 있는 규칙이 없어 빈 화면만 보여주는데요. 창 우상단의 녹색 더하기 버튼을 눌러 포트포워딩 규칙을 추가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여기에서 각 칸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수정할 수 있게됩니다. 여기에서 이름을 적당히 적어주시고 호스트 포트와 게스트 포트를 80으로 설정해줍니다. 호스트 IP와 게스트 IP는 버추얼박스가 알아서 잡아줍니다. 따라서 굳이 확인하여 기입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굳이 호스트 PC(Windows) IP와 게스트(Linux) IP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ipconfig(윈도 CMD창에서)와 ip addr show 또는 ifconfig(리눅스 터미널에서)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포스팅을 참고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단 위 링크의 글과 차이점이 있다면 NAT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의 경우, Bridged Adapter 방식과는 달리 게스트의 아이피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는 점입니다.

study@study-VirtualBox:~$ ip addr show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np0s3: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fq_codel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xx:xx:xx:xx:xx:xx brd ff:ff:ff:ff:ff:ff
    inet 10.0.2.15/24 brd 10.0.2.255 scope global dynamic noprefixroute enp0s3
       valid_lft 86280sec preferred_lft 86280sec
    inet6 xxxx::xxxx:xxxx:xxxx:xxxx/64 scope link noprefixroute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study@study-VirtualBox:~$ 

 

그 후 확인버튼을 눌러 추가해줍니다. 이어서 가상머신 설정화면도 확인버튼을 눌러 빠져나와줍니다.

 

Apache 서버 실행

이제 가상머신을 실행하여 아파치 서버를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치 서버는 저장소를 통해 설치가 되면 리눅스가 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으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가상머신 내 서버 접속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한 접속은 불가능 합니다. 이제 그것을 가능하게 해봅시다.

 

서버의 방화벽 설정 및 필요한 포트 개방

외부 네트워크에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방화벽에서 필요한 포트 등을 개방해주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의 포스팅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

세번째로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정 내 컴퓨터는 이제 기본적으로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인터넷 회선이 직접 컴퓨터 본체에 연결된 경우는 드물 것입니다.

공유기 설정에 접속하는 주소는 회사마다 다릅니다. 공유기 설정 접속 주소와 그 설정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 공유기 출시 회사의 공식 사이트에 올라가 있는 도움말과 각 공유기 모델별 설명서를 먼저 참고하시고 그외에 공유기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신 많은 분들의 블로그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링크

 

공유기 설정 방법은 아래 링크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주의할 점은 내부 IP 주소(서버 PC)를 적는 항목에 호스트 컴퓨터의 이더넷 어댑터 IP주소를 적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는 사용 중인 PC의 IP를 자동으로 잡아 적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손쉽게 ㅅㄹ정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를 통한 일반적인 웹사이트 접속은 포트번호 80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이 각 포트 번호별 일반적 쓰임이 공개되어 있다보니 해킹 위험에 노출됩니다. 따라서 보안 정책상 이 포트 번호를 바꾸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는 연습으로 설정하는 것이므로 그냥 일반적 쓰임새에 맞춰 설정합시다.

위의 내용들을 모두 설정해준 후 포트포워딩 규칙을 등록하여 규칙을 추가해줍니다.

 

포트 개방 확인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먼저 서버가 돌아가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서버가 돌아가지 않고 있다면 모든 포트가 막힌 것으로 나올 것입니다.

포트 개방은 위 사이트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자신의 컴퓨터의 공인 IP주소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해주고 검색해주시면 정상적으로 열려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가 개방되면 아래와 같이 녹색 깃발이 표시됩니다.

 

만약 포트가 개방되지 않았다면 붉은 색 깃발과 함께 Port 80 is closed라고 나오게 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포트 개방는 최종 목적지인 서버로부터 응답을 확인할 수 있는지 여부로 확인합니다. 우리는 여러 단계의 포트포워딩을 거치게 되므로 그러한 단계들 중 어느 한 곳에서 막혀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하게 된다면 포트가 막힌 것으로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인터넷 회선 제공 업체에 따라 포트 개방 정책이 달라서 포트를 막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답이 없습니다. 업체에 포트 개방을 요청하거나 주요 포트를 개방해놓고 있는 인터넷 회선 제공업체로 옮겨야 합니다.

그리고 개방을 해 놓았다 하더라도 다운로드 속도는 빠른데 업로드 속도는 굉장히 느려서 가정에서 원활한 홈서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의 차이 여부로 대칭형과 비대칭형 회선으로 구분하는데 서버를 구축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보아야 할 내용입니다.

 

따라서 가정집 등에서 서버를 구축하시려는 분들은 이상의 내용들을 모두 잘 알아보셔서 서버를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외부 접속 확인

이제 외부에서 실제로 접속이 가능한지 테스트해봅시다.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주소창에 자신의 컴퓨터의 공인 IP 주소를 입력해봅니다. 그러면 Apache2 Ubuntu Default Page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성공한 것입니다.

 

참고로 http 접속 포트를 일반값인 80이 아니라 8080 등 다른 번호로 설정한 경우, 공인 IP 주소 뒤에 :포트번호를 붙여야 접속이 됩니다.

지금까지 외부 접속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IP주소를 통한 접속은 여러모로 좋지 못한 방법입니다. 유동 IP를 쓰는 가정의 경우 IP가 바뀔 때마다 설정을 다시해주어야 하는 등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안상 취약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번거로움과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공유기 설정에서 고정아이피 설정, DDNS 설정, 방화벽 설정 등 다양한 설정을 주물러야 하고 그외 보안을 위해 다양한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와 관련된 정보들은 이미 많은 분들이 인터넷에 공유해주시고 계시므로 그분들의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제로 개인서버, 홈서버를 다루시는 많은 분들이 자신의 서버가 해킹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고 지나칩니다. 개인 서버, 홈서버는 크래커들에게 손쉬운 먹잇감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서버 운영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다면 서버를 인터넷망에 연결시키지 마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리고 만약 서버 운영 공부를 위해 불가피하게 운영해야 한다면 개인 작업용 PC와는 독립된 서버 전용으로만 사용할 PC를 장만하시기를 권하며 그 서버에 중요 자료를 결코 보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험하다면서 굳이 이 글을 적느냐는 질문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서버 구축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 것만은 아님을 보여드리고 서버 구축을 해보고자 하는 초심자 여러분들에게 성취감을 드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제 연재가 여러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